안녕하세요 코골다가 코끼리가 된 코끼리입니다. 🐘
 
오늘은 인텔리제이 설치 및 의존성을 부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카테고리에서는 스프링 부트로 웹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공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신나게 스타트!

ㄲㅣ얏 호우

 
설치는 하단 링크에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JetBrains Toolbox App: Manage Your Tools with Ease

Open any of your projects in any of the IDEs with one click.

www.jetbrains.com

저는 개발환경에 맞게 IntelliJ IDEA Community를 사용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Toolbox를 설치하신 다음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해주면 됩니다. 
 
 
✅ 00. IntelliJ(인텔리제이)
IntelliJ(인텔리제이)란?
체코 프라하에 본사를 둔 JetBrains사에서 개발한 통합 개발 환경이클립스보다 여러 면에서 뛰어나다고 평가되며, 2001년 첫 출시 때부터 편리한 코드 컴플리션 및 리팩토링 기능으로 수많은 IDEA 이용자를 양산하였다. (출처-나무위키)
 
자바 웹 개발에 있어 대표적인 개발 도구는 이클립스입니다. 그러나 IntelliJ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번에 공부하는 Mysql의 연동 및 하단에 있는 다양한 강점이 있기때문입니다.

  • 강력한 추천 기능
  • 훨씬 더 다양한 리팩토링과 디버깅 기능
  • 이클립스의 깃에 비해 훨씬 높은 자유도
  • 프로젝트 시작할 때 인덱싱을 하여 파일을 비록한 자원들에 대한 빠른 검색 속도

스프링 부트로 웹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 저는 이번에 첫 단계로 개발환경인 인텔리제이를 설치하고 의존성을 부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01. 프로젝트 생성하기

우선 처음으로 실행을 하시게 되면 상단에 [Flie] -> [New] -> [Project]를 클릭합니다.

다음으로 설정해야하는 창입니다. 우선 저는 첫시작이 때문에 이름을 정의한 후, JDK만 Oracle사의 오픈jdk인 openjdk-23로 다음과 같이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정상적으로 생성이 된다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게됩니다. 

그 후에 bulid gradle을 클릭하여 그레이들을 변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릭을 하게되면 다음과 같이 기본적인 설정만 되어있습니다. 이 설정에 코드를 추가하여 의존성을 부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먼저 bulidscript 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플러그인 의존성 관리를위한 설정입니다. 
 
ext는 bulid.gradle에서 사용하는 전역변수를 설정하겠다는 의미인데. springVersion 잔역변수를 생성하고 그 값을 '2.1.7.RELEASE'로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repositories는 각종 의존성(라이브러리)들을 어떤 원격 저장소에서 받을 지를 정합니다. 기본적으로 mavenCentral을 많이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jecnter도 많이 사용합니다. 
 
 + 그런데,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사실..

출처 - chat gpt

jcenter에 계속 에러가 나와서 찾아보니 섭종을 하였더라고요..(책이 좀 오래됐나..?)
지금은 2025년이니 해당년도에 맞게 과감히 삭제하도록하겠습니다.

왜 계속 안되나했네..

 

그 다음으로 해당 플러그인은 스프링 부트의 의존성들을 관리해 주는 플러그인이라 항상 추가 해주시면 됩니다. 

  • group: 프로젝트의 그룹 ID를 설정합니다. 저는 예제임으로 org.example로 설정하겠습니다.
  • version: 프로젝트의 버전입니다. 여기서는 1.0-SNAPSHOT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SNAPSHOT은 개발 중인 버전임을 나타냅니다.
  • sourceCompatibility: 소스 코드를 컴파일할 때 사용할 Java 버전을 설정합니다. 여기서는 Java 11을 사용합니다.
  • targetCompatibility: 생성된 바이트코드가 실행될 최소 Java 버전을 설정합니다. 즉, 컴파일된 코드를 실행할 때 필요한 최소 JDK 버전을 지정합니다.
  • repositories: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외부 라이브러리의 저장소를 정의합니다.
  • mavenCentral(): Maven 중앙 저장소에서 의존성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이 저장소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의 웹 기능을 제공하는 의존성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Spring MVC와 RESTful API를 만들 수 있게 해주며, Tomcat과 같은 내장 서버도 포함됩니다.
  •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테스트 관련 의존성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는 데 필요한 여러 도구들을 제공합니다. JUnit, MockMvc, Spring Test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합니다.

[전체코드]

buildscript {
    ext {
        springBootVersion = '2.1.9.RELEASE'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classpath("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springBootVersion}")
    }
}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5'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

group = 'org.example'
version = '1.0-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1'
targetCompatibility = '11'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이제 모든 springBoot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의존성부여가 완료되었습니다. 
 

[shitf]+[F10]를 눌러 실행을 시켜주면 정상적으로 의존성이 부여가 되었습니다.  
 
이제 다음시간에는 해당 프로젝트 파일을 깃허브에 연동시켜보겠습니다.

야호 수업끝

'Intellij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Intellij & Web - Git 및 GitHub 연동  (1) 2025.02.11
00. Intellij & Web - 머릿말  (1) 2024.12.29
2025. 2. 11.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