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02. 리눅스 - CentOS 7 (64bit)환경에 oracle 19c 설치

코골면서 딩가딩가 2024. 2. 19. 17:49

* CentOS7의 최소 사양

 

step 1. Linux 환경 설정

가. oracle 관리 계정 및 그룹 생성

 

여기서 사용되는 리눅스 설치 계정과 그룹은 오라클 관리 계정 및 그룹으로 사용되고 편의상 홈 디렉토리는 ORACLE_BASE 디렉토리로 사용됨으로 계정의 이름, 디렉토리 등을 설정할 때 주의한다.

호스트명, IP : ora19c, 192.168.10.19

설치 계정 : ora19c (UID : 1900)

소속 그룹 : dba (GID : 1900)

홈 디렉토리 : /home/ora19c

$ORACLE_BASE : /app/ora19c

$ORACLE_HOME : /app/ora19c/19c

 

설치 과정 중에 $ORACLE_BASE는 /app/ora19c를 사용하는데 이로 인해 oraInventory 디렉토리가 /app에 만들어짐으 로 ora19c 계정이 /app 디렉토리에 대해서 소유권과 쓰기 권한을 갖도록 설정해야 한다.

 

step 2. 리눅스 설정

 

step 3. 추가 패키지 설치 

 

오라클 설치에 반드시 필요한 패키지들이다. 본서에서 제공한 리눅스 설치 매뉴얼에 따라 설치된 리눅스의 경우 아래 (설치)라고 표시한 몇몇 패키지를 제외하고 대부분에서는 이미 설치되어있다. 반드시 설치 여부를 확인한다.

 

 

 

step 4. Ora19c 계정 설정 

이전의 설정이나 추가 설치는 모두 root 계정에서 수행했지만 다음의 설정은 ora19c 계정 즉 설치될 오라클의 관리 계정에서 수행한다. 특히 ORACLE_BASE, ORACLE_HOME, ORACLE_SID, TNS_ADMIN등은 오라클을 운영하는데 매우 중요한 설정이므로 주의 한다.

 

2. 설치용 패키지 준비

step 1. 압축 해제

오라클 원본 파일은 오라클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음 파일을 $ORACLE_HOME(/app/ora19c/19c) 에 다운받아 압축을 해제한다. 파일명은 LINUX.X64_193000_db_home.zip 이다.

 

다운받은 파일은 unzip을 이용 압축을 풀어준다

 

step 2. 인스톨러 실행

 

step 3. Universal Installer (설치과정)

실행 과정에 대한 설명이 없으니 각 화면의 설정을 반드시 확인한다. (Xwindows 설정에 따라 영문으로 설치가 진행되 는 경우도 있으나 내용은 동일하다.)